컨텐츠 바로가기 영역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양림동 행정복지센터
전체메뉴닫기

우리동네 소개

본문내용

기본 현황

동네 기본현황
면적
(㎢)
세대수
(세 대)
인구수 행정조직 비고
0.68㎢ 3,300 7,305 3,329 3,976 16 78  

문화재 현황

문화재현황
연번 구분 지정
번호
명칭 소재지 내용
1
지정
민속
자료
1 이장우 가옥 양촌길21 1899년 건립된「ㄱ」자형 으로 되어 있는 대문간, 곡간채, 행랑채, 사랑채, 안채로 배치된 전통 가옥임.
2
지정
민속
자료
2 최승효 가옥 양촌길29-4 1920년대 건립된 정면 여덟칸, 측면 네칸의 매우 큰 규모의 전통가옥으로, 연등천장인 대청을 제외하고는 다락을 두었는데 이곳에 독립운동가 등을 피신 시킴.
3
지정
기념물 15 우일선
선교사사택
제중로
47번길20
우일선 선교사에 의해 지어져 1920 년대 초에 증축된 광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서양식 건물. 광주 근 현 대사와 관련된 여러 이야기를 담고 있다.
4
지정
기념물 17 양림동
호랑
가시나무
제중로
47번길20
수령이 420여년, 높이 6m정도인 상록 활엽수 교목으로 미국남장로교 선교사 배유지, 오기원 등이 목포에서 광주로 이주하여 양림산 기슭에 세운 선교부 안에 있으며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왔다.
5
지정
유형 26 오웬기념각 백서로
70번길6
1914년 배유지 목사와 함께 전남 최초의 선교사로 광주에서 활동하다 순교한 오기원과 그의 할아버지를 기념 하기 위하여 지은 건물로, 예배나 집회의 장소로 사용된 지역의 공회당 기능을 겸한 문화의 전당이라고 할 수 있다.
6 문화재청
지 정
- 158 수피아여학교
수피아홀
백서로13 광주지방 최초의 여성교육의 요람인 수피아에는 수피아홀, 커티스메모리얼홀, 체육관 등 역사, 문화, 건축학 등 여러측면에서 소중한 문화재들이 산재해 있다.
7 문화재청
지 정
- 159 수피아여학교
 커티스
 메모리얼홀
백서로13
8 비지정 선교
관련
- 선교사 묘지 제중로77 광주지역에 최초로 기독교를 전파하고 개화의 신 물결과 일제 치하에서 구국운동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던 선교사들의 묘지(23인)가 집단적으로 조성되어 있는 곳으로 근ㆍ현대사 연구에 중요자료가 된다.
9 비지정 선교
관련
- 선교 기념비 제중로56 1904. 12. 25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 배유지 목사가 광주에서 처음 예배드린 곳. 이 자리에서 광주의 근대 교육, 근대 의료가 시작되었다.
10 비지정 전쟁
관련
- 충현원
(고아원)
제중로84 1950년 6.25 전쟁당시 선교사들의 도움 으로 고 박순이 여사가 설립한 고아원
11 비지정 병원
역사
- 광주기독병원
역사/의학
자료전시관
양림로37 건립된지 100년을 넘긴 병원 역사와 현대의학의 발전사, 1980년 광주 민중 항쟁 관련 역사 등을 모아 100주년 (2005년)에 개관하였다.
12 비지정 인물
(시인)
- 김현승 시비 양촌길 茶兄 시인 김현승 선생의 시혼이 빛나고 그 정신이 이어 지도록 고향 양림동에 세운 비
13 비지정 인물
(음악)
- 정율성 생가 정율성로
16-7
양림동에서 서양음악을 접하고 음악에 눈을 뜬 후 셋째형을 따라 중국으로 건너가 ‘팔로군 행진곡’ ‘연안송’ 등을 작곡하여 중국에서 추앙받고 있는 작곡가 정율성 가족이 살았던 곳임.
14 비지정 효행
관련
- 효자정엄정려 서서평길
26-4
1611년에 건립, 1975년에 재건 하였으며, 국가에서 정엄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정려. 정려각 내에는 충견 석상이 있는데 이를 ‘개비’라 칭해 오고 있다.

지역특성

광주·전남 기독교 선교의 발상지로 이국적 정취를 자아내며, 6개의 대형교회가 소재하고 있어 동민의 65%가 교인으로 종교촌의 성격을 띄고 있음.

광주의 근대화가 시작된 곳으로, 당시의 중요한 역사문화 자료와 건축물 등이 산재해 있어 근대역사문화마을로 불리며
광주를 대표하는 관광지로 자리 잡음.

문학과 예술의 마을로 불리며,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신비로움을 자아해 낸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주민 편의시설 구축과 관광 인프라 확충으로 더욱 살기 좋은 마을이 될 것으로 기대. 

  • 위로